하노이에서 열린 중앙대 실감미디어혁신융합대학사업단, (사)콘텐츠미래융합포럼 공동주최•주관의 ‘2025 글로벌 가상융합경제 컨퍼런스’에서 참석자들이 강연자들의 주제발표를 듣고있다.(사진=중앙대학교 실감미디어혁신융합대학사업단)
하노이에서 열린 중앙대 실감미디어혁신융합대학사업단, (사)콘텐츠미래융합포럼 공동주최•주관의 ‘2025 글로벌 가상융합경제 컨퍼런스’에서 참석자들이 강연자들의 주제발표를 듣고있다.(사진=중앙대학교 실감미디어혁신융합대학사업단)

중앙대학교 실감미디어혁신융합대학사업단과 가상융합대학, (사)콘텐츠미래융합포럼이 하노이에서 공동주최•주관한 ‘2025 글로벌 가상융합경제 컨퍼런스(2025 Global Conference on Virtual Convergence Economy)’가 성황리에 끝났다.

지난 19일 열린 컨퍼런스는 실감미디어 등 첨단기술의 글로벌 트렌드 소개와 가상융합경제•메타버스•ICT 분야의 새로운 산업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특히 글로벌 가상융합경제 생태계 발전을 위한 국제협력과 네트워킹 강화에 중점을 두었다.

기조강연에서는 ▲주베트남 대한민국대사관 이은규 과기관(한국의 인공지능 정책 방향 ▲베트남 사회과학원 베트남경제•세계경제연구소 하티홍반 부소장(베트남 디지털 경제발전: 성과, 과제 및 해결방안) ▲위정현 가상융합경제포럼 의장(가상융합 및 인공지능 산업 결합을 통한 한-베 협력 전략) 등이 발표했다.

이와 함께 ▲서울여자대학교 고혜영 교수(사회적 혁신을 위한 친사회적 게임 프로젝트 교육) ▲레토안탄 사무총장 직무대(베트남의 스타트업 생태계 ▲ 홍익대학교 강신진 교수(게임개발자와 AI간의 협업과정 변화) ▲중앙대학교 김규현 교수(인공지능과 애니메이션 ▲레투인에듀 김용태 지사장(에드테크의 효과성: 첨단제조교육) ▲목원대학교 원은석 교수(스테이블코인과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의 발표가 이어졌다.

중앙대학교는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국내외 기업 및 연구기관 간 네트워킹과 협력이 한층 강화됐으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산업 창출을 통해 국제 가상융합경제 생태계 발전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위정현 가상융합경제포럼 의장은 “이번 컨퍼런스가 한국과 베트남 간 가상융합산업 협력체계 구축의 중요한 전환점이 됐다”며 “양국의 기술과 산업적 강점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혁신적인 기술•서비스를 공동개발하고, 글로벌시장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인사이드비나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