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트남이 미국과 무역 협정에 따른 5차 실무 협상을 마무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상부에 따르면, 지난 12~14일 사흘간 미국에서 베트남-미국 무역 협정에 따른 양국 실무진의 5차 기술적 협상이 진행됐다.
이번 베트남에서는 정부 협상단 부단장인 응웬 신 녓 떤(Nguyen Sinh Nhat Tan) 공상부 차관이, 미국 측에서는 릭 스위처 미국무역대표부(USTR) 부대표가 참석했다.
공상부에 따르면, 이번 실무 회의는 양국 경제 및 무역 관계와 이전 장관급 협상에서 도출한 성과를 논의하는 데 중점을 두고 진행됐으며, 양측 실무진은 향후 협상단이 지속적으로 해결해야 할 여러 내용에 합의했다.
이번 협상에 대해 공상부는 “이는 베트남-미국 호혜적 무역 협정 협상에서 실무진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단계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공상부에 따르면, 이날 스위처 부대표는 베트남의 무역 정책과 제도 개혁, 국제 통합에 대한 의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양측 간 협력이 협상 과정을 원활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입장을 나타냈다.
양측은 이번 회담에서 새로운 양자 무역 협력의 틀을 조속히 완성하기 위해 실무진 간 교류를 지속적으로 조율하고,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베트남 정부는 이번 기술적 실무 협상이 양국의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심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베트남은 지난 4월 미국 행정부의 상호 관세 90일간 유예 발표뒤 응웬 홍 지엔(Nguyen Hong Dien) 공상부 장관이 이끄는 정부 대표 협상단을 꾸려 5월 초부터 약 3개월간 무역협상을 벌인 바 있다.
이어 팜 민 찐(Pham Minh Chinh) 베트남 총리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제47차 아세안 정상회의를 계기로 상호 호혜적 무역협정에 관한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공동 성명에는 베트남이 미국산 공산품 및 농산물 대부분에 대한 시장 혜택을 확대하고 미국은 지난 8월 발표된 베트남에 대한 상호 관세 20%를 유지하는 동시에 일부 제품에 대해 품목 관세 0%를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