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반기 베트남에서 판매된 전기 이륜차가 전 세계에서 3번째로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 오토바이 판매량 추적업체인 모터사이클데이터(Motorcycles Data)가 최근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상반기 전 세계 전동 이륜차 판매대수는 전년 동기 대비 7.2% 증가한 440만여대로 집계됐다.
국가별 판매대수는 중국이 320만대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인도가 65만7000대, 베트남이 20만9000대로 2~3위를 차지했다.
현재 베트남에서는 빈그룹(Vingroup 증권코드 VIC)의 전기차 제조 자회사 빈패스트(VinFast 나스닥 증권코드 VFS)와 닷바이크(Dat Bike), 셀렉스모터(Selex Motor) 등 현지 기업과 혼다·야마하·야디 등 일본·중국 브랜드가 전동 이륜차를 판매하고 있다. 이들 업체는 올해 상반기 판매량을 공개하지 않았다.
앞서 빈패스트는 지난해 내수 시장에 7만1000대에 달하는 전동 이륜차를 판매하며 세계 10대 전동 이륜차 제조업체 중 하나로 이름을 올린 바 있다. 업계에 따르면, 상반기 판매량은 10만대를 돌파한 것으로 추정된다.
혼다와 야마하의 전동 이륜차는 각 1종에 불과하며 판매량도 많지 않다는 것이 업계의 전언이다.
한편, 모터사이클데이터에 따르면, 다양한 출력별 모델 가운데 면허가 필요없는 저출력 전동 이륜차 판매 성장률이 11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저출력 모델이 저렴한 가격으로 주로 학생과 주부 사이에서 선호도가 높은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는 하노이 도심지를 중심으로 내연기관 이륜차 운행이 금지되고, 호치민에서도 유사한 조치가 시행될 조짐이 나타나고 있어 향후 수년간 전동 이륜차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호치민시, 내년부터 도심 ‘저배출구역(LEZ)’ 지정 논의…노후차 통행제한
- 베트남 오토바이업계, 전동이륜차 대대적 프로모션 실시…내연차 단계적 폐지 영향
- 호치민시, ‘내연車’ 대기오염 주범 지목…친환경 전환 가속화
- 하노이시, ‘전기오토바이’ 전환 보조금 지원 추진 …1인당 최대 300만동(115달러)
- 하노이시, ‘내연기관’ 자동차·이륜차 등록세 인상 추진
- 하노이시, 2030년 전차종 100% 친환경 전환계획
- 베트남도 E-모빌리티 ‘대세’…2030년 시장 규모 67억달러 전망
- 빈패스트, ‘전기이륜차’ 배터리 교환형 충전소 도입…친환경 전환 강력 드라이브
- 호치민시, 2030년 영업용이륜차 100% 전동화 추진…열악한 충전망 최대 한계 지적
- 빈패스트, 세계 최대 버스 박람회 ‘버스월드 유럽’ 참가…전기버스 첫 선
- 베트남, 전기차시장 ‘폭발적 성장세’ 3년새 10배 증가…블룸버그NEF
- 베트남 전기이륜차 스타트업 ‘닷바이크’, 시리즈B 펀딩 성공적…2200만달러
- 베트남, 전기이륜차 수요 증가 ‘폭발적’…저렴한 운영비·전환 장려정책 등
- 베트남, ‘전기오토바이’ 약진속 내연기관 이륜차 판매 둔화…9월까지 190만대
- 하노이시, ‘전기오토바이’ 전환 보조금 지급 추진…1인당 최대 500만동
